금융위기·코로나 때보다 높아
미국의 경제학자들은 1년 안에 미국에 경기침체가 닥칠 가능성이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19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는 이미 경기침체에 진입했거나 그 직전에나 볼 수 있는 수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0.75%포인트 금리인상 직후인 지난 16∼17일 이코노미스트 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향후 12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올 확률’에 대한 답변 평균치가 4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문은 2005년 중반부터 관련 설문조사를 시작한 이후 이 정도의 높은 수치가 나온 적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됐던 2007년 12월에는 3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인 2020년 2월에는 26%로 모두 지금보다 낮았다.
이는 물가 상승과 높아지는 대출금리, 글로벌 공급망 차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쇼크’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조사에서 이코노미스트들이 예상한 올해 말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연간 상승률 전망치는 평균 6.97%로 4월 조사 결과인 5.52%보다 웃돌았다. 2023년 연간 물가상승률 전망치도 4월 2.86%에서 6월 3.26%로 높아졌다.
지난 4월 조사에서 2.014%로 집계됐던 연준의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도 이번 조사에서는 3.315%로 상승했다. 6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의 금리인상)에 이어 7월에도 비슷한 정도의 인상을 시사한 여파로 해석된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