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중 한때 1290원 돌파...물가상승률에 공포감 확산
1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13.3원 급등해 1288.6원에 거래를 마쳤다. 코로나 확산초기 금융시장 불안으로 달러 가치가 치솟았던 2020년 3월 고점(달러당 1285.7원)을 넘어서며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인 2009년 7월 이후 거의 13년 만의 최고치로 상승했다. 오후 한때 달러 환율은 1290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전날 미국 4월 소비자물가가 시장 전망치(8.1%)보다 높은 전년 동월 대비 8.3% 올랐다는 발표가 나오자“고물가가 장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불안이 번지며 달러 가치가 올라간 영향이다. 주요국 대비 달러 가치를 집계한 달러 인덱스는 104를 돌파하며 2002년 12월 이후 약 19년 반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41년 만의 인플레이션을 꺾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전례 없는 속도와 폭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은 충격에 빠졌다. 특히 경제 기초 체력(펀더멘털)이 약한 신흥국이 연쇄적으로 큰 타격을 받는 상황이다. 달러의 가치가 올라갈 경우 신흥국은
수입품에 대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수입 물가가 오르고, 안 그래도 심각한 인플레이션을 더 악화시키는 악순환에 빠질 위험이 있다.
미국의 물가 고공 행진은 글로벌 금융시장에 공포 그 자체다. 미국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급속하게 올릴 경우 시중에 돈이 말라 경기 침체가 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달러 가치가 급등하고 증시가 폭락하고 있다. 연준이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수습한 후 풀었던 돈을 거둬들이는 과정에 신흥국 시장이 무너졌던 2014년‘긴축 발작’과 유사한 충격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2일 한국 증시는 전일 미 증시가 급락한 여파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코스피는 전일보다 1.6%, 코스닥지수는 3.8% 급락해 거래를 마쳤다.
김신영, 윤진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