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크사, FDA 긴급허가 신청 계획, 입원사망률 50% 감소 기대
머크(Merck) 제약사가 1일 오전 실험중인 자사의 COVID-19 알약 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가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의 입원과 사망을 절반으로 줄였으며 곧 미국과 전 세계의 보건 당국에 사용 승인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승인시 머크사의 이 약은 COVID-19를 치료하는 첫 번째 알약이 된다. 머크사와 파트너사인 리지백 바이오테라퓨틱스(Ridgeback Biotherapeutics)는 COVID-19 증상이 나타난 후 5일 이내에 몰누피라비르 약을 투여받은 환자가 가짜 알약을 투여받은 환자에 비해 입원 및 사망 비율이 약 절반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비만, 당뇨병, 심장병과 같은 건강 문제로 인해 코로나 감염 고위험군에 속한 성인 775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몰누피라비르를 복용한 환자 중 7.3%가 30일 이내에 입원하거나 사망한 반면, 가짜 알약을 복용한 환자의 입원, 사망률은 14.1%였다. 머크사 알약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전자 코드를 복사하고 스스로를 복제하는 데 사용하는 효소를 방해하는 것이 주요 원리이다. 머크사의 딘 리 박사는 "이번 임상 시험에서 약의 효과는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뛰어났다. 입원이나 사망이 50% 감소하면 상당한 임상적 영향을 미친다” 고 말했다. 현재 미국은 COVID-19 치료제로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가 승인중이며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와 싸우는 데 도움이 되는 3가지 항체 요법의 긴급 사용이 허용 중이다.
연방 정부는 FDA의 승인이 나오면 머크 알약을 170만 도스 구매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머크사는 연말까지 1000만 도스를 생산할 계획이며 전 세계 정부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아직 가격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한편, 화이자와 로슈를 포함한 몇몇 다른 회사들은 앞으로 몇 주, 몇 달 안에 현재 개발 중인 유사한 약물에 대한 임상 실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머크 제약사의 코로나 치료제 알약 몰누피라비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