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예 조치 종료 후 임차인들 '비상' 지원금 지급 느려
강제퇴거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서 메트로 애틀랜타의 부동산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난 29일 AJC가 보도했다.
애틀랜타 리저널 커미션에 따르면 연방대법원이 퇴거 금지령을 멈춘 이후로 메트로 애틀랜타 인근의 5개 카운티에서 지난 4주 동안 약 1만 1000개의 강제 퇴거가 신청 되었으며, 이는 작년 동일한 기간 보다 높은 수치다.
특히 팬데믹 전과 비교할 때 지난 2주 동안에는 강제 퇴거 신청이 2019년에 비해 19%나 올랐다.
애틀랜타 리저널 커미션의 에릭 우드워스 분석가는 “아직까지 실제로 강제 퇴거가 이뤄지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작년 지금까지 약 10만개의 강제 퇴거가 신청되었다. 문제는 이 숫자가 암시하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메트로 애틀랜타 주변에서는 지난 27일 기준으로 디캡 카운티의 약 1600가구가 렌트비 및 유틸리티 지원금을 받았다. 현재까지 지급된 금액은 전체 예산의 52%인 약 1090만달러이다. 귀넷 당국의 경우 2810만달러 렌트비 지원 예산 중에서 약 60%, 캅카운티는 2300만달러 중에서 약 67%가 지급됐으며 풀턴 카운티는 1800만달러 예산을 거의 소진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카운티들에 비해 조지아 당국이 받은 렌트비 및 유틸리티 지원금의 예산은 천천히 나눠지고 있다. AJC는 조지아 지역 사회부에 약 10억 달러의 예산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강제 퇴거 관해서 계속해서 전문가들의 우려는 커지고 있다. 렌트비는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어서 강제 퇴거를 당한 사람들이 갈 수 있는 집이 없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나온 주택단지 리스트(Apartmentlist)의 2021년 7월 자료에 따르면 작년 6월과 비교해 1년 사이 조지아주의 렌트비는 14.8%나 올랐으며, 이는 미국 전역의 8.4%에 비해 약 2배나 되는 수치다.
두 수치가 차이나는 이유는 미국 전역의 렌트비는 작년 9월에서 12월까지 소폭 감소했다가 다시올라갔지만 조지아는 팬데믹 상황에서도 렌트비의 감소는 없어서 일어난 것으로 보여진다.
애틀랜타 경우 1베드룸 아파트의 렌트비 경우 중간가가 1290달러이며, 2베드룸 아파트의 렌트비 경우 1300달러이고, 마리에타 경우는 1베드룸에 1270달러이며, 2베드룸 아파트의 렌트비 경우 1510달러다. 애틀랜타 경우 작년에 렌트비가 10.8%나 올라갔으며, 마리에타 경우 작년과 비교해 20.6%나 올라갔다.
렌트비를 계산 중인 한 세입자의 모습.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