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적 합의를 이뤄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1조 2090억 달러(약 1365조 원) 인프라 투자 예산 중 150억 달러(약 16조 9335억 원)를 전기차(EV) 버스와 EV 충전소 마련에 쓰일 계획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24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로이터는 백악관의 공식 보고문을 인용해 이번 인프라 예산 계획에 대중교통과 학교통학용 EV버스 구입과 EV 충전소 증설안도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백악관은 이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이 기존 목표로 삼았던 50만 개 EV 충전소와 1000대의 대중교통 및 통학 버스를 미국 전역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번 예산안 합의 과정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EV 분야에 총 1740억 달러(약 196조 3938억 원), EV 구매자에 대한 리베이트에 1000억 달러(약 112조 8700억 원) 배정을 제안했으나 최종 합의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EV 리베이트는 EV를 구매한 사람들에게 일부 금액을 환불해주는 것으로, 기존 내연기관차량보다 친환경적인 EV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제도다.
대신 미국 내 EV 차량과 배터리 및 부품 생산 자금을 지원해주는 새로운 인센티브 제도가 책정됐다. 이를 통해 EV 생산단가가 낮아지면 구매자들도 보다 저렴한 가격에 차량을 구매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제너럴모터스(GM)와 테슬라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미국은 정부가 구매자에 7500달러(약846만 3000 원)를 지원해주는 세금 공제 혜택을 운영해왔는데 이 부분에서는 두 기업 모두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 한도를 초과했기 때문이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EV 충전소에 150억 달러 (약 16조 9290억 원)를 투자하려는 계획을 내비친 바 있다. 이번 예산안 합의에서는 미국 내 매장된 석유 판매 등으로 해당 계획을 실현시키는 방안이 언급되기도 했다.
로이터는 “지금까지 두 가지로 좁혀진 자금 조달 방안은 EV에 마일 당 가격을 책정하는 것과 가솔린 차량에 부과되는 세금을 물가와 연동해 인플레이션을 정상화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박소령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