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외교관 추방 제재에 맞대응...정상회담만이 돌파구
러시아가 미국의 제재에 대응해 러시아 주재 미국 외교관 10명을 추방했다고 지난 16일 AP 뉴스가 보도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하루전인 15일 러시아의 2020 미국 대선 개입 및 연방 기관인 솔라윈드의 해킹을 이유 들며 10명의 러시아 외교관 추방, 러시아 기업에 대한 제재, 러시아가 빌릴 수 있는 자금에 대한 제재 등 각종 제재 조치를 취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교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긴장이 유례없는 수준”이라며 러시아의 제재 도치를 밝혔다.
미국 외교관 10명 추방과 함께 러시아는 메릭 갈런드 법무장관, 크리스토퍼 레이 연방수사국(FBI) 국장 등 바이든 행정부 사람들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었던 존 볼턴 등 8명의 입국도 금지시켰으며, 미국 대사관 단기 출장용 비자 발급을 1년에 10명으로 제한하고, 대사관의 러시아인 고용도 금지시켰다.
다만 러시아 정부는 이날 “양국 간 정상회담 제안은 긍정적으로 접수됐다”며 중재 가능성을 내비쳤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제재를 발표한 직후 양국 간 안정된 관계를 위한 미-러 정상회담을 제안했다.
AP도 미국과 달리 러시아는 미국에 경제적으로 제재를 가하면 러시아의 경제적인 사정만 약해질 것이라고 보도하며 이번 사태가 빠르게 종식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미국과 러시아의 갈등이다. 미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 반군 문제로 갈등 중이다.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성향 주민들은 2014년 3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반도를 병합하자 분리 독립을 선포하고 중앙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이에 따라 최근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이 격화되면서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미국 및 유럽연합(EU)과 러시아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대사관의 모습.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