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포함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 대응에 선방한 태평양 연안의 나라들이 백신 접종에서 크게 뒤처지고 있다는 외신 평가가 나왔다.
17일 뉴욕타임스(NYT)는 한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코로나 초기에 확산이 더뎠던 나라들이 백신 접종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초기에 확진자와 사망자가 쏟아져 나온 미국, 유럽과 상황이 뒤바뀌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은 인구의 4분의 1이 2차까지 백신 접종을 완료한 상황이다. 영국에서는 인구 절반이 1차 백신 접종을 마쳤다. 반대로 한국, 호주의 백신 접종률은 전체 인구 대비 3% 미만이고, 일본과 뉴질랜드는 1% 미만이다.
NYT는 "이 굼벵이(laggards)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감염률과 사망자 수 덕에 벌게 된 시간을 이용하면서 다른 나라에서 개발하고 제조한 백신에만 의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공적인 방역 의미를 퇴색시키고 경기 회복 속도를 늦출 위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CNN도 지난 16일 비슷한 내용을 전했다. 한국을 포함해 뉴질랜드, 일본, 대만, 태국이 대규모 발병을 차단하는 것은 성공했지만, 백신 접종률이 모두 4% 미만이라고 꼬집었다.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다른 나라에 비해 백신 제조사와 빨리 합의하지 못했다는 게 전문가들 평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