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세계 각국 정부들이 대규모 코로나19부양책을 시행하면서, 세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비율이 98%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부채비율과 맞먹는 수준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로고. /트위터 캡처
28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IMF)의 분기별 재정 보고서를 인용해 전세계 국가의 GDP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2019년 84%에서 작년 12월 말 98%로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전세계 정부의 공공부채 총액은 지난해 말 89조 6000억 달러(약 8경 9600조원)에 달했다.
특히 저금리로 쉽게 부채를 차입할 수 있는 선진국에서 증가폭이 컸다. 선진국의 GDP대비 부채 비율은 2019년 105%에서 지난해 12월까지 123%로 올랐으며, 올해는 125%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IMF는 보고서에서 정부가 너무 빨리 지출을 줄이기 시작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면서도, 각국 정부들이 재정 건전성을 유심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부양책이 적절한 때에 중단되지 못하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IMF 재정 총괄 빅터 가스파 이사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세계에서 모두 통제되기 전까지는 통제할 수 없다"며 "빠른 코로나 사태 해결이 경제회복을 위한 가장 빠른 길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