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12일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가 실시해 13일 발표한 조사 결과 국민의 여 야 지지도가 뒤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지지율은 33.4%인 반면, 야당인 미래통합당에 대한 지지율은 36.5%로 근소한 차이기는 하지만 야당이 앞선 것이다.
이것은 지난 2016년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있은 이후로 처음 보는 현상이다.
불과 4개월 전인 4.15총선에서 여당이 압도적인 대승리를 거둔 것에 비하면 너무나 갑작스런 대 변동이 아닐 수 없다.
이와 동시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도 43.3%로 최하치로 떨어졌다. 반면 문 대통령에 대한 부정(否定) 평가는 52.5%로 치솟았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측은 일체 함구하고 아무런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다만 차기 유력 대선 주자이자 당 대표에 도전하고 있는 이낙연 전 총리는 13일 당 지지율 하락 사태에 대해 “경기침체, 고용불안, 집값 상승과 원활치 못한 국회, 민주당 일부 구성원의 부적절한 처신과 언행, 긴 장마와 집중호우의 피해 등으로 국민의 답답함과 실망이 누적된 결과”라며 “당의 기풍쇄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견 그럴듯한 설명이지만 두루뭉술하다는 인상을 줄 뿐이다.
이번 국민 여론의 돌연 변동이 흔히 있어 온 일이라면 이 정도의 설명으로도 통할지 모른다. 그러나 지금은 다르다. 지난 총선 이후 여당은 적폐청산과 새로운 미래 설계를 앞세워 대 개혁을 달성하겠다며 기고만장한 자세로 돌격을 해 온 터이다.
그런데 만약 민심이 등을 돌리고, 여당의 개혁을 멸시하며 달갑지 않게 여긴다면 그 것 자체로도 여당은 참담한 패배자의 자리로 전락한 것이나 다름없게 된다.
도대체 왜 국민이 갑자기 더불어민주당에 등을 돌리게 된 것일까?
따져 본다면 이낙연 전 총리가 지적한 이유들에 틀린 말은 거의 없다.
문 정권이 3년 여 전에 들어서면서부터 시대착오적인 경제정책으로 격심한 경기침체가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더하여 코로나 바이러스가 들이닥치자 사태가 더 악화됐을 뿐이다.
집값 폭등도 책임 각료들의 정책 미숙으로 일시적으로 어느 나라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다. 또 흔히 긴 장마로 산하(山河)에 재앙(災殃)이 일어나고 막대한 인명 피해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이 모든 일 들이 유독 이번 여름에 한국을 한꺼번에 덮쳐버렸으니 국민들의 고난(苦難)이 이만 저만이 아니게 됐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정도라면 국민이 현 정권에 등을 돌릴 것까지는 없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오히려 난국(亂局)이 닥칠수록 국민들이 모두 힘을 합해 정부가 하는 일을 더 열렬히 지지하고 국난(國難)을 타개(打開)하는데 앞장 설 수도 있다.
그런데 왜 국민은 갑자기 현 정권에 등을 돌리고, 아직 정비가 잘 되지 못한 미래통합당에나마 희망을 걸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일까?
이유는 오직 한 가지, 국민들이 현 집권세력의 언동(言動)중에서 ‘지옥(地獄)’과 ‘악마(惡魔)’의 그림자를 보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최근에 국민들에게 큰 의심을 품게 만든 것이 문 대통령의 정부 요직 발탁(拔擢)의 패턴이다.
문 대통령은 작년에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야당의 강력한 반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국을 법무장관으로 임명했다. 조국은 젊은 시절 국가전복을 목표로 한‘사노맹(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활동을 한 데 대해“부끄럽지도 숨기지도 않는다”고 국회에서 증언하고 “나는 지금도 사회주의자이다”라고 단언(斷言)했었다. 이런 골수 반 자유주의 세력을 기어이 최 중요 각료의 자리에 앉힌 대통령의 사상을 의심하지 않는 쪽이 이상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최근에는 이런 패턴이 다반사(茶飯事)가 되고 말았다. 요직 인선마다 과거에 반 국가적 전과가 있고 지금도 사상이 불투명한 사람들뿐이다. 이인영 통일부장관은 국가보안법 전과, 박지원 국정원장은 대북 불법송금의 전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은 아무 거리낌 없이 임명을 강행했다.
문 정부는 천장 모르게 치솟는 부동산 가격을 잡는다며 3년 동안에 23회나 대책을 내 놓았으나 요즘은 거의 속수무책(束手無策)이다. 그러면서도 문 대통령은 관련 장관을 바꿀 생각도 하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은 “최근에 집값이 잡혀가고 있다”고 말해 국민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오히려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부동산 시장 감독기구 설치도 검토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이것이 얼마나 허무맹랑한 자유시장 원칙 위반적 발상인지도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해외에서도 부동산 전담 감독기구는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베네수엘라의 공정가격감독원에 비교될 수 있을지는 모른다. 이 기구는 모든 생필품 가격을 관리하는 곳으로 전형적인 사회주의 경제의 산물이다. 문 정권 들어서서 ‘1가구 1 주택주의’, ‘토지 공개념 실현’등의 구호가 자주 들리기 시작하는 것도 국민들의 신경을 극도로 날카롭게 만들고 있다. 문 정권은 호시탐탐(虎視眈眈) 부동산 시장의 붕괴를 기다렸다가 끝내‘토지 및 가옥 공개념’이라는 사회주의 체제로 대 전환하려는 전주곡(前奏曲)이 아니냐는 무시무시한 의혹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런가 하면 문 대통령은 이번의 호우(豪雨)피해 원인 규명을 위해 전 정권의 4대강 보를 다시 조사해야한다고 나서 국민들을 어리둥절하게 만들고 있다. 이번의 비 피해가 4대강 보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닌지 조사해보라는 취지이다.
이에 대해 홍준표 전 야당 대표는 “문재인의 무지(無知)를 드러낸 것”이라고 혹평했다.
모든 강(江)에는 하상계수(河狀係數)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한강은 1대 390이다. 겨울에 흐르는 물의 양을 1이라고 하면 여름에는 390배나 늘어난다는 표시다. (낙동강 1대372, 섬진강 1대 730 등) 이에 비해 외국의 경우는 나일강 1대 30, 양자강 1대 22, 라인강 1대 18 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한데도 문 대통령은 4대강 보 공사를 왜 했는지 조사해 보아야 한다고 벼른다.
과거 정권의 업적을 모두 적폐 청산의 대상으로 삼고 파괴하려는 것이다.
국민들은 문 정권의 이 같은 모든 언동의 배후에 숨은 무자비하고도 시대착오적인 일그러진 극좌 사상의 우(愚)와 그 악마성(惡魔性)을 감지하고 그로부터 등을 돌리기 시작한 것이라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