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전격 금리인하에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비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최근 전격적인 기준금리 인하 결정에 연준에서 ‘매파(통화 긴축 선호)’로 분류되는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은행(연은) 총재가 "제로금리는 실수"라며 비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지난 17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메스터 총재는 이날 성명에서 "시장이 제 기능을 못 해 통화정책이 경제에 전파되는 메커니즘이 지장을 받는 상황에서는 기준금리 인하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면서 '제로(0)’에 가깝게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은 실수다. 정책 여력을 남겨둬야 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 15일 기준금리를 종전 1.00∼1.25%에서 0.00∼0.25%로 1.0%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당시 메스터 총재는 0.5%포인트만 내려 정책 여력을 남겨둬야 한다며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연준 내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인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미국 경제방송 CNBC에 출연해 "화력을 아껴둬야 했다는 생각은 완전히 틀렸다"면서 빠른 위기 극복을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신속히 쓰는 게 더 낫다고 반박했다.
연준의 정책 수단이 여전히 남아있다는 의견도 있다. 유니크레디트의 에릭 닐슨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신권을 찍어낼 수 있는 중앙은행들은 화력이 소진될 수가 없다"고 말했다.
한편,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 제로 금리를 도입한 연준이 7년 뒤인 2015년에야 금리 인상에 착수한 점 등을 근거로 연준이 이번에 다시 채택한 제로금리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CNN은 이와 관련해 "연준이 (금융위기 당시처럼 7년 뒤인) 2027년까지 금리를 낮게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불확실하지만 그럴 가능성은 있다"며 "이번 사태는 (1929년) 대공황 이후 미국 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난관일 수 있다"고 전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의 모습.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