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스 상원의원-아이비 주지사 등 한목소리로 반대
현대차 직원 존 홀 씨, 상무부 공청회서 발언 주목
앨라배마주 더그 존스 연방 상원의원도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무역관세 정책을 중단하라고 선언했다고 최근 AL.com이 보도했다.
존스 상원의원은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의하고 동료 의원들과 협력해,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하고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을 바꾸고, 얼마나 많은 일자리가 위험에 처해 있는 지를 알리고 노동자들을 보호하기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월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 상무부에 수입차 및 자동차 부품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지를 조사하도록 지시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수입 차량에 대해 20-25%의 관세 부과를 고려하고 있다.
존스 의원은 “미국이 여러 면에서 적의 위협에 직면해 있으나, 외국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은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라고 주장하고 “'진정한 위협이 무엇이냐?' 하면, 수입된 차량과 차량 부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존스 상원의원의 발언 이전, 케이 아이비 앨라배마 주지사도 트럼프 행정부 자동차 고율관세가 시행되면 4000여개의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라고 우려한 바 있다. 아이비 주지사는 지난달 데토위 카운티 연설에서 “앨라배마에서 수천명을 고용하고 있고 주 경제에 공헌하고 있는 자동차 회사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관세 인상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이비 주지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와 차량 부품에 대한 무역 관세 부과를 하지말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는 내용의 서신을 행정부에 전달했다. 이 서신에 따르면, 1993년 메르세데스 벤츠가 주 최초의 자동차 공장을 건설한 이후부터 최근 마쯔다-도요타 공장 신설이 결정되기까지 5만7000명 이상의 앨라배마 주민들이 자동차 부문 기업에 고용돼 있다.
아이비 주지사는 또한 작년 자동차 수출이 109억 달러에 달했던 앨라배마가 전국 3위 수출 주임을 강조했다. “캐나다, 중국, 독일, 멕시코, 일본 등 주요 수입국들은 자국의 관세를 회피 할 수 있는 모든 나라들인데, 우리가 전세계에 수출하는 상품에 관세가 부과되면 이러한 모든 성장은 위축될 수 있다”고 말한 아이비 주지사는 “앨라배마 주에서 만들어진 차량 수출이 10 % 감소하면 약 4000 명의 일자리가 없어질 수 있으며, 이는 곧 주 전역에서 수천 명의 가족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19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자동차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 관련 공청회’에서 현대차 앨라바마 공장 직원인 존 홀(John Hall)이 발언자로 나서 주목을 받았다.
홀 씨는 625전쟁과 한국 재건을 다룬 책을 들고 “한국과 미국은 함께 싸웠던 전우”라고 말하고 “관세가 부과된다면 앨라배마의 내 친구의 이웃들은 일자리를 잃고 지역 경제는 파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현대차가 지역 경제에 기여한 것을 직접 경험했다”면서 “특히 경기침체 시기에도 현대차는 인력조정 없이 미국 근로자와 함께 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홀 씨는 △현대차는 미국내에서 판매하는 자동차의 절반 가량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점 △앨라배마 생산 자동차의 20%는 제3국으로 수출하고 있다는 점 △ 협력사 포함 2만5000명의 직접고용과 4만7000명의 간접고용 창출 △엔진, 트랜스미션 등 핵심부품을 미국에서도 생산하는 점 등을 들어 현대차의 지역 경제 기여도를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홀 씨는 “만약 25% 관세 부과된다면,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 판매 감소로 앨라배마주의 일자리가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LG전자 미국 배터리팩 생산법인 직원 조셉 보일(Joseph Boyle) 씨는 “LG전자가 전기자동차용 부품(배터리팩 등) 생산공장을 미국내 건설중이며 이를 통해 300여개의 신규 일자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미국 전기자동차의 경쟁력에 있어 글로벌 소싱이 중요하며 관세를 부과할 경우 미국산 전기 자동차의 성장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한국에서는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 등이 참석해 발언했다. 강 차관보는 한미 FTA를 통해 양국 자동차 관세가 이미 철폐했고, 개정협상에서 원칙적 합의를 통해 자동차 안전기준 인정범위 확대, 픽업트럭 관세철폐기간 연장 등 미측의 자동차 관련 관심사항이 반영되어 이미 공정하고 상호 호혜적인 교역여건이 조성된 점 등을 강조했다.
또한, 한국의 자동차 기업은 100억 달러 이상 미국에 투자해 11만 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는 등 미국 경제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한국의 대미 수출 주력차종은 중소형차 위주로 픽업트럭과 스포츠다목적차량(SUV) 위주인 미국 자동차와 경쟁관계에 있지 않은 점도 강조했다.
강 차관보는 “자동차 산업과 국가안보간 연관성이 없으며, 자동차 산업에 국가안보 예외 적용시 각 국의 안보 예외조치의 남용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국가안보 이익에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제기하고 “결론적으로 232조 조치는 한미 FTA의 혜택을 근본적으로 훼손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치를 결정할 것”을 요청했다.
더그 존스 상원의원.
케이 아이비 주지사.
존 홀 현대차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