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간 메트로 애틀랜타와 국내외 크고 작은 최신 경제 관련 뉴스들을 요약해 소개한다. <편집자주>
6월 전국 제조업 PMI지수 60.2로 상승
6월 전국 제조업 분야의 성적표가 기대 이상이었다. 지난달 미국의 제조업이 소폭 둔화 예상과 달리 가속도를 내며 팽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월 전국 제조업 지표를 발표하는 공급관리자협회(ISM)에 따르면 지난 6월 전국 제조업 구매관리지자수(PMI)는 전달의 58.7보다 1.5포인트 상승한 60.2을 기록했다. 이는 전문가들의 예상치 58.4를 상회하는 것이다. 이는 2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기도 하다. PMI지수가 50 이상이면 제조업이 성장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사인이다. 미국 공장들은 지난 22개월 연속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6월 생산과 신규 수출 주문 증가가 두드러졌다. 고용과 신규 주문 성장했으나 신규주문은 5월의 63.7에서 63.5로, 고용지수도 전월의 56.3에서 56.0으로 소폭 낮아졌다. 시장 예상은 57.0이었다. 제조업 18개 분야에서 대부분인 17개 분야에서 6월 성장세를 나타냈다. 특히 직물 분야와 나무 생산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ISM 제조업 여론조사 위원회의 티모시 피오르 의장은 “노동과 자재 부족에도 불구하고 미국 공장들은 더욱 활기차게 돌아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ISM의 설문조사에 응한 제조업 종사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에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미국은 수입 철강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유럽연합과 캐나다 등 무역 상대국가들의 보복성 관세 조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또한 달러화 강세도 향후 미국 제조업의 성장세가 계속 이어갈 수 있을지에 대해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달러 가치가 높아지면 외국에서 미국제품의 가격이 비싸지면서 그만큼 가격 경쟁력이 하락하기 때문이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마이클 피어스 선임경제연구원은 “최소한 현재로서는 국내 경기의 탄탄한 상승세는 해외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에 대한 걱정을 상쇄시키고 있다. 그러나 4월 이후 달러 가치의 6% 절상과 보복성 관세의 무역전쟁 등 여러가지 요인들로 인해 얼마나 오랫동안 순탄한 제조업 상승세가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아마존 유치 확률 여전히 2위
직접고용만 5만개 창출의 아마존 제2본사, 애틀랜타에 들어오면 이건 정말 대박이다. 자연재해가 거의 없는 안전한 애틀랜타를 아마존이 최종 지명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여기 저기에서 들리고 있어 많은 메트로 애틀랜타 주민들이 ‘아마존드림’을 꿈꾸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시애틀에 본사를 둔 유명 테크놀로지 뉴스 웹사이트가 아마존 제2본사가 애틀랜타에 지어질 가능성이 20개 최종 후보 도시들 중에서 2위라고 전했다. 지크와이어(GeekWire.com)은 노스캐롤라이나의 랄리를 1위에 선정했으며 2위 애틀랜타에 이어서는 텍사스의 오스틴이 3위에 올랐다. 지크와이어 측은 “지난 한 주 동안 우리 독자들을 상대로 아마존 제2 본사가 들어올 가능성이 가장 높은 도시가 어디라고 생각하는지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개솔린값 4년래 최고기록
메트로 애틀랜타의 독립기념일 연휴 개솔린 가격이 지난 4년래 최고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개스버디에 따르면 3일 메트로 일대의 갤런당 평균 개솔린가는 2.75달러로 1년전의 2.10달러보다 훨씬 높았다. 역대 독립기념일 개솔린 가격이 가장 높았던 때는 4년전으로 2014년 7월 4일 메트로 애틀랜타 평균 가격은 갤런당 3.65달러였다. 비록 조지아주의 개솔린 소매 가격은 전국 평균보다는 아직 낮지만 다른 인근 주들보다는 비싸다. 개솔린 가격은 이번 봄서부터 계속 상승하다가 메모리얼 데이의 갤런당 2.90달러로 정점을 찍고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기는 했으나 최근 며칠간 다시 상승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개스버디의 댄 맥티그 선임 원유 연구가는 “추가 가격 상승이 예고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개솔린 재고분이 부족하고 수요는 높다. 또한 베네수엘라와 리비아 지역의 정치적 소용돌이까지 가세해 국제 원유 시장의 전망도 매우 불투명하다”고 설명했다.
LG전자, 헌츠빌에 2800만달러 투자
LG전자가 앨라배마 주 헌츠빌에 2800만 달러를 투자해 태양광 모듈 공장을 건설한다. 앨라배마 케이 아이비 주지사는 가정용 태양전지 패널공급업체인 LG가 태양광 모듈 조립 라인으로 160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새 공장에 두 개 라인이 증설해 총 400여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주지사실측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공장의 투자 규모는 2800만달러다.아이비 주지사는 "앨라배마의 첫 번째 태양광 제조 공장이 헌츠빌에 온다“고 전하고 ”48에이커 규모의 부지에 세계 수준의 프로젝트가 앨라배마와 LG전자와 파트너십의 미래를 밝게한다"라고 전했다. 토미 배틀 헌츠빌 시장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LG가 새로운 태양광 모듈 플랜트로 앨라배마를 다시 선택했다"라며 반겼다. LG전자는 앨라배마에서 선도 기업주자로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지난 1982년 앨라배마 헌츠빌에 TV 공장을 지은 LG전자는 30년 넘게 운영해 왔다.LG B2B의 권순순 글로벌 사장은 “헌츠빌에 있는 새로운 태양전지 패널조립공장으로 미국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며 “2019년부터 생산을 시작하게 되면, 고성능 N형 태양전지 패널을 연간 500메가 와트규모를 생산할 것”이라고 전했다. 수량으로 따지만 연간 약 100만 개가 넘는 태양 전지판이 생산되는 셈이다.한편, 앨라배마에는 최근 한국 기업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지난달 현대차 앨라배마 제조법인(HMMA)은 3억8800만 달러를 투자해 엔진헤드 제조설비 등을 증설하기로 했다. 이번 투자로 HMMA에 약 50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가 태양광 전지 패널 공장을 건설한다. 사진은 헌츠빌소재 LG 공장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