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8일 이틀 동안 한국을 방문하면 좌파단체들이 그가 가는 곳마다 따라다니며 반 미, 반 트럼프 시위를 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 자체가 엄청나게 국제 예의에 어긋난 무례한 행동이다.
이들은 ‘NO 트럼프 공동행동’이란 단체를 결성하고 이미 지난 달 26일 시위 계획과 일정까지 공개했다.
‘NO 트럼프 공동행동’에는 민노총, 민변, 한국진보연대 등 220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대부분이 현 집권세력을 지지하는 친(親)정권 단체들이다. 특히 법원에서 이적(利敵)단체 판결을 받은 후 이름만 바꾼 친북단체들도 다수 참여하고 있다.
이에 앞서 반미단체인 부산민중연대 소속 회원 70명은 지난 달 14일 부산의 미 해군 창설 기념행사장에 난입하여 트럼프 대통령을 ‘DOTARD(노망한 늙은이)’라고 욕하는 피켓을 앞세워 시위했다. 다 아는 바와 같이 ‘DOTARD’라는 낱말은 지난번에 김정은이 트럼프 대통령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할 때 썼던 말이다. 시위 대원들은 미군들을 향해 “트럼프 졸개들아, 꺼져라”, “양키 고 홈”등의 욕설을 퍼부었다. 지난 8월에는 사드 반대 시위대가 트럼프 대통령 화형식까지 했다.
문제는 이 같은 불온한 움직임에 대해 현 정부가 굳게 입을 다물고 아무런 사전 대책도 발표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금이 어느 때인데 정부는 이 같은 한미동맹 파괴행위를 묵인(默認)하려는 것인가.
트럼프 대통령 일행이 한국에서 가는 곳 마다 환영 인파는커녕 욕설을 퍼 붇는 적성(敵性)시위대만 만나고 떠난다면 그들은 무어라 생각하겠는가? 그러지 않아도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회의에서 “한국인들은 미국의 방어 지원에 대해 왜 더 고마워하지 않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트럼프는 이번에 한국이 중국과 사드 문제에 관해 상호 ‘양해’를 이룬 것도 고운 눈으로만은 보지 않는 것 같다. 특히 강경화 외무가 국회에서 언명한 ‘사드 추가 배치 불검토, 미국 MD(미사일 방어) 불참여, 한 미 일 안보협력의 군사동맹화 반대’ 등 ‘3 NO’ 약속에 대해 미국의 시선은 곱지 않을 것이다.
미국 측으로 볼 때에는 “한국이 몸을 돌려 중국으로 성큼 다가갔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벌써 중국 CCTV는 외교부 산하 국제문제연구원 소속 전문가의 입을 빌려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한국은 MD와 한 미 일 동맹이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한 것이다.”
중국이 한국에 대한 경제 제재를 풀어 한국에 크게 양보한 것처럼 보이지만 내용적으로는 중국의 국익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 동안 중국도 큰 손해를 보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의 유커(遊客)가 끊겨서 한국이 입은 손실과, 한국의 관광객이 중국에 가지 않은 데서 생긴 중국의 손실의 비율은 10 대 8 정도로 중국으로서도 만만치 않은 손해였다는 것이다. 중국의 온라인 매체인 ‘둥베이야관차(東北亞觀察)’는 “적군 1000명을 죽이려다 아군 800명이 죽은 꼴이다. 이웃의 잘 사는 나라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 손해는 결국 자신(중국)의 몫”이라고 지적했다.
거기다가 이제는 중국으로서도 북한의 핵문제를 언제까지나 미결상태로 질질 끌고 갈 수 없는 절박한 단계로 접어든 것도 사실이다.
아무리 북한 체제의 존속이 중국에 이익이 된다 하더라도 북한의 핵이 갖는 위험도가 중국으로서도 더 이상 견딜 수 없는 한계점에 다다랐다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의 거의 원시적인 핵 실험 방식과 낡은 시설들이 언제 세기의 대재앙을 일으켜 중국 동북부를 초토화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북한의 핵은 이제는 세계의, 특히 북한에 인접한 국가에게 큰 해악을 예고하는 암(癌) 덩어리인 것이다.
이런 와중(渦中)에도 정세의 새로운 급변 기미를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있는 것이 남한의 좌파세력들이다.
이 들은 문재인 정부에서 실권을 휘어잡고 나라의 기본정책을 뒤틀고 있다.
대통령의 최고 고문들이 “이제는 발상을 바꾸어 북한의 핵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는가 하면 “어떤 일이 있어도 평화를 깨서는 안 된다. 우리의 허가 없이 아무도 한반도에서 전쟁을 할 수 없다”고 망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북한문제의 제1책임자인 조명균 통일부장관이 또다시 망언을 했다. “북한이 생존을 위해 핵을 개발 중이어서 포기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한 것이다. 그래서 어쩌자는 것인가? 북한 핵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말인가?
이때까지 변변한 독자적 대 북 제재안도 제대로 내지 못하고 방관하다시피 해 온 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다운 참으로 얼빠진 발언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어떤 사람들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것은 촛불집회 덕분이었다고 한다.
물론 촛불집회가 도화선이 되어서 국민의 여론이 크게 한 방향으로 휩쓸린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따지고 보면 촛불집회에 참여한 사람의 수는 결코 많은 것이 아니다.
흔히 주최측은 한번 집회에 모인 인원수를 100만 명이라고 했지만 경찰 추산으로는 25만 명 정도였다. 많은 학자들의 추산으로는 집회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할 때 경찰 추산이 사실과 가까운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집회가 50번 열리면 연 인원이 5천만 명이라는 것도 난센스다. 촛불시위에는 매번 똑 같은 사람이 모인다. 날이 갈수록 참가자가 크게 늘지도 않았다. 100번 열려도 똑 같은 그 사람들이 나올 뿐이다. 결국 촛불 시위에 참여한 인원은 1년을 통 털어도 25만 명밖에 되지 않는다는 결론이다. 대한민국의 총 유권자를 4천만 명이라고 할 때 25만 명은 그의 0.6% 밖에 되지 않는다.
실로 유권자의 99.4%는 촛불집회와 무관하다는 얘기가 된다.
더구나 건국 이래 6.25를 거쳐 대한민국이 세계의 경제 대국 10위권에 들도록 주역 역할을 한 사람들은 대부분 촛불 시위와 무관하다.
촛불 집회에서는 불온한 좌파 구호들이 난무했다. 그러나 99.4% 의 압도적인 대다수는 자유민주주의를 사수(死守)해야 한다는 각오가 되어 있다. 다만 지금은 이들을 규합하고 이끌어갈 마땅한 지도자가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우리는 지금 다시 새 지도자를 찾아 모두 일어날 때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