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포럼 글로벌리스크
올해 발생가능성이 가장 큰 위험은 기상이변이다.
세계경제포럼(WEF)는 '2017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를 지난 11일 발표하고 올해 발생가능성이 가장 큰 위험요소로 기상이변, 비자발적 이민, 대형 테러 등을 꼽았다.
WEF은 매년 1월 연례총회(다보스포럼)을 앞두고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750명의 전문가가 참여해 30개의 글로벌 리스크를 평가해 도출한 결과물이다.
또한 WEF는 향후 10년간 세계를 위협할 3대 리스크로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양극화, 환경위험 증대를 꼽았다.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양극화는 일자리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세계경제포럼은 세계 경제 침체 속에서 일자리 문제가 경제적 불평등과 사회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세계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에서 더디게 회복하면서 빈부격차가 커지고, 경제적 불안감이 고조돼 포퓰리즘 정당이 부상했다는 것이 이번 보고서의 지적이다. ‘브렉시트’와 ‘트럼프 당선’로 대변되는 서구사회의 반체제 주의는 독일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극우정당의 지지에 힘입어 널리 퍼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의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라 기후변화 의제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있었다.
한편, 성장 등 보수적인 의제를 강조해온 WEF이 이런 상황에 대한 해법으로 포용적 성장을 내걸었다는 점이 주목되고 있다.
WEF 창시자인 클라우스 슈바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 도래하면서 과거보다 포용적 성장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WEF은 오는 연례총회 기간 중에 포용적 성장에 대한 보고서를 추가로 발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