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시대 개막 - 미국 46대 대통령 취임
“지금은 암흑기지만 빛은 있어, 코로나 치유 위해 기억해야”
블링컨 美국무후보 “북한 비핵화 더 나빠져… 어려운 문제”
조 바이든 제46대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미 의회 의사당에서 취임 선서를 마치고 취임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낮 12시(현지 시각·한국 시각 21일 오전 2시) 제46대 미국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다. 바이든은 이날 오전 백악관 인근 성당에서 미사를 마친 뒤 트위터에 “미국의 새날이 밝았다(It’s a new day in America)”는 짧은 글을 올렸다.
그는 전날 자택이 있는 델라웨어주를 떠나기 전 고별사를 통해 “지금이 어두운 시기라는 것은 알지만 언제나 빛이 있다”며 “(미국은) 희망과 빛, 끝없는 가능성의 땅”이라고 했다. 미국의 코로나 사망자가 4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임기를 시작하지만 미국은 여전히 희망의 땅이라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비행기를 타고 워싱턴DC에 도착한 그는 링컨기념관 앞에서 열린 코로나 희생자 추모 행사에서 “치유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해야만 한다”며 “하나의 국가로서 그렇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미 상원은 19일 국무·국방·재무·국토안보부 장관 후보자와 중앙정보국(CIA) 국장 지명자에 대한 인준 청문회를 열었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 후보자는 북한 문제와 관련해 “여러 행정부를 대대로 괴롭혀 온 어려운 문제”라며 “북한에 대한 전반적 접근법과 정책을 리뷰(review·재검토)하려고 한다”고 했다. 북한의 비핵화가 “어려운 문제란 점을 인정”하고 원점에서부터 다양한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취지다. 그는 북한의 비핵화가 “더 나빠졌다”고도 했다.
그는 또 “우리는 중국을 능가하고 국민의, 국민에 의한 정부가 국민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세계에 상기시켜 줄 수 있다”며 민주주의 가치 회복과 동맹 재활성화를 강조했다.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후보자는 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한·미 동맹은 역내 평화와 안보의 핵심 축(linchpin)”이라며 “인도·태평양 전역의 동맹들을 현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그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과의 방위비 분담 협상의 조속한 타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역내 동맹을 강화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거액 인상 요구로 막혀 있던 방위비 분담 문제도 조속히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태평양 지역 전략 강화를 위해 한국·일본·호주 등의 동맹이 중요하다며 “다시 여행이 가능해지면 이 지역이 내 첫 방문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워싱턴=김진명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