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에 접종 기준 확대, 공급 부족 야기
빠른 진행, 고위험군 접종 탈락 가능성
바이러스 확산과 약속과 달리 늦어지고 있는 백신 배포 속도에 주들이 백신 접종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고 지난 11일 애틀랜타 비즈니스 크로니클지가 보도했다.
각 지역의 주지사들은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환자들, 줄어드는 병실 수, 접종되지 않고 냉동실에 보관되어 있는 백신들의 소식이 주민들에게 전해지면서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백신 접종군을 늘리고 있다.
또한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백악관에 입성하면 연방정부가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백신을 주들에게 줄 것이다”라고 말하며 수량에 자신감이 생겨서 백신 접종 기준을 기존 의료종사자와 너싱홈에서 시니어까지 늘렸다.
접종 기준을 늘린 주로는 지난 11일부터 65세 이상이 백신을 맞을 수 있는 조지아를 비롯해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텍사스, 뉴욕 등이 있으며 각 주의 기준은 조금씩 다르다. 플로리다 경우 조지아와 같이 65세 이상이 백신을 맞을 수 있지만 뉴욕 경우 75세 이상만 백신을 맞을 수 있다.
알렉스 아자르 연방 보건복지부 장관은 “백신을 빠르게 배포해 고위험군이 아닌 사람들도 접종을 시키는 것이 백신을 방치하는 것보다 이상적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접종 기준을 늘리는 것에 이어 국가 차원의 백신 접종 가속화도 속속 이어지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백신 문제를 국가 안보 차원의 문제로 다룬다고 했으며, 화이자와 모더나는 3월 말까지 1억명의 사람이 백신을 2회 맞게 해 접종을 마치게 하고 2분기에 백신 수량을 늘린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대상자를 갑작스럽게 확대하면 필수적으로 백신을 받아야 하는 고위험군 사람들에게 백신이 돌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 연방식약청(FDA) 국장인 마크 맥켈렌 박사는 “접종 기준을 늘리며 대상자가 많아지면서 정작 필요한 사람이 백신을 못 받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라며 대상자가 많아지며 생기는 전산 시스템 오류, 백신 공급 부족 등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해당 현상은 65세 이상까지 접종 기준을 확대한 조지아에서 보이고 있다. 11일부터 백신을 맞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든 한 한인은 지난 8일에 백신을 접종 받으려고 접수를 하려 했지만 예약은 모두 찬 상태였고 주말에 계속해서 화면을 보며 예약 시간이 있는지 확인해야 했다.
한인 타운에서 일 하는 이모씨는 “백신을 빠르게 접종해야지 마음이 놓일 것 같다”라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한인 시니어는 일찌감치 포기하고 안전성도 보면서 차후에 백신을 맞는 것을 고려하고 있지만 언제 마음을 놓을 수 있을지 모른다.
이제는 바이러스가 아닌 백신 접종 팬데믹이다.
한 여성이 백신을 주사 받고 있다. <자료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