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겪고 불안한 의원들, 초당적으로 헌법 25조 주장해
지난 6일 시위자들의 미국 국회 의사당 점거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으며 민주주의에 대한 경종이 울리고 시위자들을 바로 해산시키지 않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즉각 탄핵의 목소리가 초당적으로 나오고 있다.
척 슈머 연방상원의원(민주)는 “국회 의사당에서 일어난 일은 대통령의 선동으로 일어난 미국에 대한 반란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정헌법 제 25조를 바탕으로 바로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아담 킨진거 연방하원의원(공화)는 “나는 무리해서라도 수정 헌법 제 25조를 사용해 트럼프 대통령을 물러나게 하고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잠시라도 결정권을 맡아줬으면 하는 것을 주장한다. 지금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는 대통령과 함께 이번 사건과 관련 자리에서 계속해서 물러나는 사람들을 보고 있다”라며 근시일 내 이뤄지기 어렵지만 펜스 부통령 지도하에 상황이 정리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수정헌법 제 25조는 대부분 미국 대통령의 승계를 규정하며 이중 제 4절 경우 비자발적 은퇴로 한 경우는 대통령이 국가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판단되고 정부 각료의 과반수가 찬성하면 현직 부통령이 대통령을 대신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재 7일 오전까지 워싱턴 경찰측이 시위자 68명을 체포했다고 밝힌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7일 오전에는 시위자들에게 “평화적으로 시위를 해라”라고 했지만 해산하라고 하지는 않았으며, 7일 오후에는 “시위자들은 집에 가라”라고 했지만 부정선거가 있었다고 추가로 말해 시위를 선동했다고 비난을 받고 있다. 또한 미리 격렬한 시위 전조가 있었어도 주 방위군(National Guard)을 빠르게 배치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는 중이다. 7일에는 주 방위군이 파견되었지만 한 군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고 펜스 부통령이 방위군 파병을 주도했다”라고 밝혔다.
워싱턴 경찰서가 주민들한테 체포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워싱턴 경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