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우버 등 각州 민원 넣어… 부자들은 거액 내밀며 접종 요구
아마존·우버 같은 미국의 대기업과 여러 노동조합이 코로나 백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주(州)와 연방정부에 로비를 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1일 보도했다. 미 정부는 의료 종사자와 요양원에 거주하는 고령자 등에게 가장 먼저 백신을 접종한 뒤, 두 달 안에 ‘필수 근로자’에게 백신 배포를 시작할 예정이다. 어떤 직종이 ‘필수 근로자’에 속하는지에 대한 대략적 지침은 연방정부가 만들지만, 구체적 우선순위를 정할 권한은 각 주에 있다. 경찰, 소방관, 대중교통 기관 근무자, 교사 등은 거의 모든 주가 ‘필수 근로자’로 분류하고 있으나 그 외 직종에 대해서는 주마다 판단이 다를 수 있다. 그래서 관련 민원이 속출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대표적 온라인 유통 업체인 아마존은 지난 16일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백신권고위에 자사 직원들이 “가장 이른 적절한 시점에” 백신을 맞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각 주에도 아마존 배송 기사 등을 우선 접종 대상에 넣어 달라고 요청했다. “아마존 배송센터와 (식료품 체인인) 홀푸즈 등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수천만 시민이 집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필수 공급망’에서 일하고 있다”는 취지였다.
우버·리프트 등의 차량 공유 서비스 회사들도 자사와 함께 일하는 운전기사들에 대한 백신 우선 접종을 요구하고 있다. 우버의 최고경영자 다라 코즈로샤히는 “나는 우리 기사들이 빨리 편하게 무료로 백신을 맞기를 원하며 그러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하겠다”고 WP에 밝혔다. 우버 기사들은 ‘직원’이 아니라 우버 측과 계약한 ‘개인 사업자’에 해당하지만, 이들이 백신을 먼저 맞을 수 있도록 우버 측이 비용을 부담하겠다는 뜻이다.
대중교통 기관 근무자 간에도 경쟁이 있다. 철도 회사, 항공사, 화물·철도·항만·수로 노동조합 등은 제각기 직원들이 언제 백신을 맞을 수 있는지 의회와 정부에 문의하고 있다고 한다. 구치소와 교도소에서 일하는 교정 공무원, 은행 창구 직원, 편의점 직원들도 백신 접종 우선순위를 원하고 있다.
결국 ‘로비력’이 강한 대기업이나 대규모 노조가 백신을 선점하고, 소상공인이나 노조가 없는 직종의 근로자들은 뒤로 밀리는 ‘백신 디바이드(Vaccine Divide·접종 격차)’가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앞서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부유층이 코로나 백신을 먼저 맞기 위해 거액의 현금이나 기부금을 병원에 제안하고 있다고 18일 보도했다. LA의 세다르스 시나이 병원에는 “2만5000달러(약 2700만원)을 기부할 테니 먼저 백신을 맞게 해줄 수 있느냐”는 문의도 있었다고 한다.
워싱턴=김진명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