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세 그래슬리 “일일보고 보내라”… 트럼프 측근 상원의원도 동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 참모들이 트럼프 정부의 공식 지원 없이 정권 인수 준비를 하느라고 임기응변에 의존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 패배를 인정하지 않아, 트럼프가 임명한 에밀리 머피 연방총무청장도 바이든을 지원하는 서류에 서명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조달청에 해당하는 연방총무청의 승인이 있어야 바이든 인수위가 정부기관 내에 인수위 사무 공간을 확보하고, 인수위 참모들이 정부의 기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런 상황 탓에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바이든과 외국 정상들의 전화 통화도 도청을 막을 수 있는 보안통신선이 아닌 일반 전화로 이뤄졌다. 국무부의 통역 지원도 받지 못했다. 바이든 인수팀에 있는 500여 명의 전직 정부 당국자와 외부 전문가들도 정부의 보안 통신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중국인들로부터 대화 내용을 보호하기 위해 ‘시그널’ 같은 암호화 (메시징) 앱으로 대화한다”고 NYT는 전했다. 시그널은 발신자가 보내는 메시지를 해독 불가능한 암호로 바꿔 전송하며, 앱 운영사조차 사용자 간에 오간 대화 내용을 알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인수위 참모들은 “예전에 함께 일했던 정부 당국자들을 야외 커피숍에서 만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하지만 공식적 권한을 갖고 이뤄지는 면담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대화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자 공화당에서도 바이든이 일정한 정보 브리핑은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공화당 현역 최고령 연방 상원의원인 척 그래슬리(87) 의원은 “현 정부는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과 대통령 일일 보고를 공유해야 한다. 기밀 정보에 있어서는 특히 그렇다”고 말했다고 미 CNBC 방송이 12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그는 2000년 대선 당시 플로리다 재검표 논란으로 인한 짧은 인수 기간이 준비 부족을 야기했다는 9·11 테러 보고서를 상기시켰다. 국가 안보는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연속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공화당 소속인 제임스 랭크퍼드 상원의원도 “선거 기간에 그랬던 것처럼 (바이든과 트럼프) 모두 브리핑을 받아야 한다”고 이날 말했다. 바이든은 선거 기간 대선 후보로서 일정한 정보 브리핑은 받았다. 통상 대통령 당선인이 받는 ‘대통령 일일 정보 브리핑'보다는 제한적인 브리핑이지만 그것이라도 재개돼야 한다는 뜻이다. 트럼프의 측근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도 바이든이 정보 브리핑을 받아야 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렇다”고 했다.
워싱턴=김진명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