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11일(현지 시각) 미국 재향군인의 날을 맞아 한국전쟁 참전기념비를 찾아 헌화했다.
CNN과 AP통신 등에 따르면 바이든 당선인은 이날 오전 질 바이든 여사와 함께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국전 참전 기념공원의 기념비를 찾아 15분간 머물렀다. 두 사람은 모두 코로나 사태를 감안해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었다.
이들은 손을 잡고 성조기와 태극기가 머리 위로 펄럭이는 광장의 검은 대리석 기념비에 도착했다. 현지 의장대가 국기를 게양하고 엘버트 엘 일병의 기도에 이어 충성의 맹세 암송이 이어졌다.
이 행사를 주재한 필라델피아 판사인 패트릭 듀건과 짐 케니 필라델피아 시장에 이어 바이든 부부가 세 번째로 기념비에 헌화했다. 또 기념비 앞에 잠시 서서 묵념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행사에 참석한 일부 인사들과 사진 촬영에 응했지만 공식 발언이나 기자들과 문답은 진행하지 않았다. 이곳에는 100명이 넘는 사람이 모였고, 시기적으로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 직후 탓인 듯 이따금 박수를 치고 환호하는 모습도 목격됐다.
바이든 당선인은 재향군인의 날을 맞아 자신의 트위터에 "오늘 우리는 미국 군대의 제복을 입었던 이들의 봉사를 기린다"고 적었다. 또 "우리의 자랑스러운 참전용사들에게 나는 여러분의 희생을 존경하고 봉사를 이해하며, 국방을 위해 그렇게 용감하게 싸운 가치를 결코 배신하지 않는 최고사령관이 될 것"이라고 다짐했다.
그는 별도 성명에서 "여러분이 마땅히 받을 만한 존경에 못 미치는 어떤 것으로 절대 여러분이나 가족을 대우하지 않을 것"이라도 썼다. 이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미군 전사자를 ‘패배자’라고 언급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바이든 당선인은 장남인 보 바이든이 과거 이라크전에 참전했을 당시 마음 졸이던 상황을 언급하며 "군인 가족의 일원이 된다는 것이 정말이지 어떤 의미인지 알게 됐다"고 말했다. 보는 2003년 델라웨어주 방위군에 법무관으로 입대한 뒤 2008년부터 1년간 이라크 파병을 갔다. 그는 2015년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으로 사망했다.
최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