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포브 경제학자, "경제적 어려움이 선거 참여를 가로막아"
정부의 코로나 대처에 분노를 느끼거나 막상 눈앞에 닥친 암담한 주거 환경 때문에 일부 유권자들이 투표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고 지난 9일 야후 파이낸스가 보도했다.
연방 센서스국의 통계 자료를 인용한 야후 파이낸스는 9월 말까지 전국에서 약 1700만 가구가 렌트비나 모기지 페이먼트를 연체했으며, 이중 일부가 올해 투표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런 야후 파이낸스의 견해와 같게 아파트 매물 정보 업체 아파트먼트 리스트가 최근에 실시한 조사에서 모기지나 렌트비를 연체 중인 가구 중 올해 투표 참여 계획이 있다고 밝힌 비율은 약 55%로, 모기지와 렌트비를 내는데 문제를 겪고 있지 않는 사람 중 투표 참여 계획이 있다고 밝힌 비율인 79%에 비해 24%나 낮았다.
아파트먼트 리스트의 이고어 포포브 수석 경제학자는 “불행하게도 재정문제로 인한 고통지수와 투표 참여간에 연관이 있다”라며 “경제적 어려움이 선거 참여를 가로막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층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으며 올해 대선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가 있다.
연방 센서스국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주택 세입자의 약 14%, 주택 소유자 중 약 6.4%, 총합 1700만명이 9월 말 연체를 기록 중이다. 하지만 전국 다가구 주택 협의회(National Multifamily Housing Council, NMHC)에 따르면 1700만명 중 대부분은 정부 시행의 모기지 유예 프로그램 또는 건물주를 통한 임대료 유예 혜택을 적용받고 있으며, 모기지나 렌트비를 체계적으로 낼 준비를 갖췄다.
하지만 각종 구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포포브 수석 경제학자는 “팬데믹으로 인해 사람들간의 재정상태 불균형이 더욱 커졌다. 가장 타격을 많이 받게 되는 사람들은 렌트를 내야 하는 세입자들이다”라며 9월에 렌트비를 제때 못내는 세입자들 중 오직 48%만 투표할 것이라고 했으며, 이는 같은 환경에 처한 주택 소유자들 중 60%가 투표할 것이라는 차이를 보이고, 그 이유는 돌아갈 집을 가지고 있는가 없는가에서 나온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대선에서 임대료와 모기지 페이먼트를 내지 못하는 유권자들을 대상으로 선거 운동을 하면 효과적일 것이란 분석도 있다. 포포브 경제학자는 “우리가 현재 겪고 있는 주택 불균형 문제는 민주당 지지 지역 또는 공화당 지지 지역 중 어느 한 곳에만 집중된 문제가 아니다”라며 정당에 상관이 없이 경제 문제를 해소할 방안이 있는 후보에 표가 몰릴 수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모기지 유예 프로그램과 세입자 퇴거 유예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조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약 6,400억 달러 규모의 주택 시장 안정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것도 유권자들의 표심을 잡기 위한 대선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7일 열린 부통령 후보 토론에서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부통령 후보는 “미국인의 절반이 매달 말 임대료를 낼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상황”이라며 현재 주택 시장의 암담한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포포브 경제학자는 “주택 임대 시장 불안정과 주택 구입 여건이 대선 토론에서 이처럼 이슈가 된 적은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라고 말했다.
한 달력에 렌트비 납부 일자가 적혀져 있다. <그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