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률 48%, 정상 체중인과 중환자실 입원률도 74% 차이
비만 리뷰 저널에서 새롭게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비만인 사람들에게 특히 위험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스 캐롤라이나 채플 힐 길링스 대학 공중 보건 비만 연구원이자 교수인 베리 팝킨 박사는 과체중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걸렸을때 미치는영향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팝킨 박사와 그의 팀은 비만과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수십건의 연구를 검토했고, 비만정도가 BMI 30 이상인 사람들이 정상 체중의 사람보다 입원 할 위험이 113 % 더 높고, 중환자실에 입원할 확률이 74 % 더 높으며 바이러스 합병증으로 사망할 위험이 48 % 더 높았다고 밝혔다.
팝킨 박사는 “이러한 결과는 매우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해 왔던 비만과 관련된 질병들 즉 고혈압, 당뇨병 및 심장병은 물론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새로운 질병의 위험 요소의 문을 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
팝킨 박사는 또한 과도한 복부비만이 폐에 압력을 가해 호흡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신체대사에 변화를 유발하여 면역 체계를 약화시킬 수 있는 염증을 유발하여 감염과 싸우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고 설명한다.
더욱더 충격적인 사실은 과체중은 독감 예방 주사와 같은 백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만인 경우 독감 백신은 정상 체중의 개인에게 미치는 만큼의 효과가 발생하지 않아 실제로 일부 병원에서는 비만 환자에게 정상인이 받는 한번의 예방접종이 아닌 두번의 주사를 놓는 경우가 있다고 전한다.
그러면서 팝킨 박사는 체중을 조금만 줄여도 바이러스로 인한 합병증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강조한다. 체중을 3-5파운드 감소하고 체지방율을 조금만 낮추더도 그 영향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강조한다. “빠른 해결책은 없지만 더 나은 선택을 시작할수 있다”고 전하면서 “매일 우리의 식단에 대해서 생각하고 장기적인 건강에 대해 지금부터라도 조심해야 한다” 고 이어 강조한다.
이 연구는 많은 미국인들이 특히 펜데믹 기간에 더 많이 먹고 그에 비해 활동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몸에 해로운 인스턴트 음식과 음료를 더 많이 섭취하고 있으며 알코올 소비량이 어느때보다 증가하는 이때 경고의 메시지를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