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5개 업체 대상 생산품 선적 억류키로
미국내 도소매 업체 영향 받을수도 있어
연방 정부가 중국 신장 지역에서 생산되는 일부 제품의 수입을 금지한다고 14일 발표했다. 해당 제품들이 소수 민족의 '강제 노동'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이유다. 이에따라 미국내 도소매 업체도 물품 공급에 차질이 우려된다.
연방관세국경보호청(CBP)의 마크 모건 직무대행은 이날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 등 소수 민족에게 조직적이고 끔찍한 학대를 벌이고 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연방행정부가 수입을 금지한 품목은 신장 지역 5개 특정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면화, 의류, 헤어제품, 전자제품, 컴퓨터 부품이다.
CBP는 또한 이들 업체에 대해 인도보류명령(WRO)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CBP는 인신매매나 인권침해, 강제노동 등에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단체의 선적을 억류할 권한을 갖는다.
케네스 쿠치넬리 연방국토안보부 차관대행은 이날 신장 뤄푸현 제4 직업능력교육훈련센터가 강제노역의 중심지라며 폐쇄를 촉구했다. 그는 "표면상 직업센터이지만 사실 종교적, 민족적 소수자들이 학대받고 자유도 없는 끔찍한 환경에서 강제로 일해야 하는 곳"이라며 "현대판 노예제와 다름 없는 강제수용소는 폐쇄돼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연방 정부는 올해 7월에도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 인권 침해에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 기업 11개를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었다. 로이터는 미국이 '재교육'을 명목으로 이슬람교도인 신장위구르 소수민족 100만여명을 억류한 것에 대해 중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 이러한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