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TC, '피해 빈번한 지역 부동산 가치 떨어질 것'
대책으로 탄소세 책정, 배출가스 공개 의무화
대형 산불, 태풍, 가뭄, 홍수, 등 자연재해와 기후변화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정부가 처음으로 공개했다고 지난 9일 뉴욕타임스지가 보도했다.
보고서를 간추리면 “현재의 금융 시스템은 기후변화로 인한 잦은 충격을 상쇄할 수 없다”라며 금융 시스템의 취약점을 밝혔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모두 수긍 할 수 있는 맞는 말이지만, 정부 자체 기관이 기후변화의 위험성을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해당 보고서를 제출한 연방 상품 선물 거래위원회(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이하 CFTC)는 연방준비제도(Fed)와 증권거래위원회(SEC) 등 금융 당국의 긴급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전문가들도 보고서의 내용에 수긍하며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특히 전문가들은 최근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화재와 폭염, 루이지애나주와 텍사스주를 강타한 태풍 로라 등이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지구의 사정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킴 콥 조지아 텍 기후학자는 "상황이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면서 "자연재해가 상상력에 도전하는 수준이며, 2020년의 기후학자로서 미래를 아는 것조차 두렵다"고 말했다.
이어 콤 기후학자는 "우리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속에서 연이은 재난을 맞이하고 있다"며 “2030년대는 지금보다 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것”이라고 자연 재해는 계속해서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CFTC의 보고서에 따르면 산불과 허리케인 피해가 빈번한 곳은 위험도가 높아져 부동산 등의 자산 가치가 급락할 수 있으며, 보험료는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일부 지역에서 사는 가치와 기준이 달라지는 것이다.
CFTC 보고서의 편집자며 툴레인 대학교서 부동산 교수로서 재직 중인 제시 키낸 교수는 “기후 변화는 집값에 영향을 줄 것이며, 집값이 떨어지면 주정부가 걷을 수 있는 세수도 떨어진다”라며 로컬 경제를 악화시킬 수 있는 도미노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CFTC측은 기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의회가 기업과 시장의 화석연료 사용을 억제할 수 있도록 탄소세를 무겁게 책정하고, 연준 등 금융당국은 지방자치단체나 기업 자산 매입 시 '기후 위기'를 부채 항목에 포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제안사항 중에는 기업이 배출가스 공개를 의무화하며, 은행은 기후 관련 금융 리스크를 해소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된다.
캘리포니아서 일어난 '파이어토네이도'의 모습. <니요브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