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에버21, 렌트 밀린 사이몬사에 인수됐다
12일 연방법원이 포에버21의 매각을 최종 승인하는 판결을 곧 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델라웨어 연방 파산법원의 케빈 그로스 판사는 전날 포에버21의 매각을 논의하는 공청회에서 승인 의사를 밝혔다.
인수자는 포에버21에 가장 많은 매장을 대여해준 미국 부동산관리업체 사이먼프로퍼티그룹 컨소시엄이다. 이 컨소시엄은 지난 2일 공개입찰을 통해 포에버21과 자회사들을 8100만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 이로써 포에버21은 창업 36년 만에 창업주인 장도원, 장진숙 부부의 손을 완전히 떠나게 됐다.
포에버 21의 존 골딩 CRO는 이 날 파산 법원에서 “우리의 유일한 대안은 비즈니스의 완전한 청산(Outright Liquidation)”이라며 그로스 판사에게 매각 승인 판결을 부탁했다. 지난해 9월 연방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기 전 포에버 21은 전세계적으로 800개 매장을 운영하며 전체 직원들의 숫자는 3만2800명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번 주 기준으로 포에버 21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은 단 500만달러가 전부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 전세계 패스트 패션의 대표 아이콘으로 의류 제국을 일궜던 기업은 지금은 막상 이달에 내야 할 렌트비 2400만달러의 1/5 수준의 현금만 소유하고 있는 신세가 됐다.
포에버 21을 인수하는 컨소시엄에서 특히 사이먼과 브룩필드는 다른 기업들보다 더 많은 매장들을 포에버21에 임대해줬으며 그에 따라 임대비를 많이 못 받았다. 사이먼과 브룩필드는 두 회사 합쳐서 1340만달러의 임대비를 포에버 21매장들로부터 못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 이후에 포에버 21 매장들이 향후 얼마나 남아있게 될지는 미지수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미국에서만 500개 이상인 포에버21매장들이 대형 쇼핑몰에서 많이 빠지고 나면 미국 리테일 부동산에서 한 차례 큰 여파가 이어질 것은 분명하다. 브릭스&모타르 캐피털의 크레이그 실버스 CEO는 “앵커 테넌트인 포에버 21이 빠지고 나면 전체적으로 쇼핑몰의 고객들이 감소해 다른 테넌트들의 비즈니스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같은 쇼핑몰에 있던 리테일 매장 소유주들은 랜드로드측에게 “요구를 안 들어주면 임대 계약을 파기하고 나갈 수 밖에 없다”고 위협, ‘공동 생존’의 명분을 내세우며 임대료 할인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귀넷 서민 주거 문제 해결 박차
인구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귀넷카운티에서도 저소득층 주민들이 살 만한 주거 공간 부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인디애나주에 본사를 둔 재개발업체, 버지&헬드(Birge&Held)는 귀넷카운티 대큘라 인근, 조지아 316과 와인더 하이웨이 선상 15에이커 부지에 저렴한 아파트 시공을 계획하고 있다고 최근 AJC가 보도했다. 버지&헬드는 한 해에 연간 소득이 3만5349달러에서 5만1660달러 사이의 주민들을 타깃으로 168유닛의 아파트 단지를 추진하고 있다. 이 연소득 범위는 귀넷카운티 중간 소득의 60%에 해당하는 저소득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오는 18일 귀넷카운티 당국의 심사를 받게 된다. 해당 부지는 지난 수십년 동안 조립 주택 단지 및 단독 주택 단지로 조닝되어 있어 개발이 승인되어도 향후 리조닝 단계를 지나야 한다.
웨스트사이드 파크 주변 신규 공사 '올스톱'
케이샤 랜스 보텀스 애틀랜타 시장이 지난 17일 웨스트사이드 파크 인근, 애틀랜타 시당국의 신축 공사 퍼밋 발급을 일시 중단(Moratorium) 조치를 내렸다고 애틀랜타비즈니스크로니클지(ABC)가 보도했다. 이유는 이 지역에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막기 위함이라고 보텀스 시장은 설명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한 마디로 도시의 슬럼가가 고급주택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슬럼가에 중산층이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 집값, 임대료, 재산세, 기타 서비스 요금 등이 올라 빈민은 점점 밀려나게 된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이루어지면 원래의 거주민들은 대부분 오랫동안 살아왔던 동네를 떠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중하류층이 살아가는 공간에 상류층이 치고 들어와 울타리를 치는 또 다른 빗장 동네를 형성해 가는 과정이라며 비판적인 시각이 지배적이다. 애틀랜타시의 서민 주택 부족 위기는 하루 이틀 사이의 문제가 아니다. 애틀랜타의 인타운 일대에 빠르게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소식은 애틀랜타시의 서민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고분분투하며 개발업체들에게 반드시 일정 비율로 서민 주택 분양 할당량을 채우도록 노력하는 시관계자들에게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웨스트사이드 파크 인근에서라도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진행을 막기 위해 애틀랜타 시당국은 180일 동안 신규 개발을 전면 중단한다. 그러나 기존에 이미 발급된 건설 퍼밋의 프로젝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안에 따라 긴급 공사인 경우에는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
웨스트사이드 파크의 개발 모라토리엄 기간 동안 시당국은 리조닝 신규 신청서를 일체 받지 않으며 그 외에도 신규 건축 퍼밋, 특별 용도 퍼밋, 특별 행정 퍼밋, 서드디비전 등 신규 건축과 관련된 퍼밋을 발급하지 않는다.
콘도(Condominium), 인기 치솟는다.
단독주택(Single Family House)의 선호도는 여전하지만 최근에는 콘도(Condominium)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단독주택은 소유지 위에 건축된 집으로써, 매우 다양한 크기가 있다. 침실공간은 물론 가격에 따라 수영장에 테니스장까지 갖추고 있다.
단독주택에 살고 있는 집주인들은 자신이 원하는 색깔의 페인트를 칠할 수도 있고, 정원이나 뒷마당에 텃밭을 꾸밀 수도 있다. 증축도 수월한 편이다. 한마디로 ‘자신만의 공간’을 갖기 원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주택가격 상승률이 높고 되팔 때의 가격(Resale Value)가 높은 편이다. 물론 자신이 집안의 모든 것을 관리해야 한다는 것은 장단점이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콘도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효율성을 중시하는 밀레니얼 세대들이 선호하고 있으며,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도 주택 다운사이징 위해 콘도 찾고 있다. 일단 밀레니얼 세대들은 효율성, 편리성 그리고 경제성을 중시한다. 이들은 구입자금은 부족한 형편이며, 기존 세대보다는 크기가 작은 집도 수락하는 분위기다. 주택을 관리할 시간이 부족한 이들은 추가 비용을 내더라도 관리를 해주고, 청소도 해주기를 바란다.
젊은이들에게는 식당, 쇼핑몰이나, 기차역 등까지 걸어갈 수 있거나 물리적으로 가까운 콘도가 넓은 마당이과 많은 방들이 있는 단독주택보다 더 좋아보인다. 특히,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고 근무시간이 긴 경우라면 주택소유주협회(HOA)가 안전을 위한 시큐리티, 수영장, 헬스센터 등을 관리해 주는 것을 오히려 선호한다. 물론 본인 취향대로 건물외벽, 발코니, 지붕 등을 손댈 수 없다. 그러나 이는 편의성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별 문제는 아니다.
더구나 노년층으로 접어든 베이비 붐 세대는 은퇴 후 기존에 거주하던 단독주택을 처분하고 다운사이징(Downsizing)을 위해 콘도를 찾고 있다. 자녀들을 출가시킨 노년 부부는 이제 그들만의 안락한 공간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이제는 주택 관리가 힘에 겹기도 하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콘도의 가격 상승률은 단독주택보다 앞서고 있다.
모기지 이율 오르기 전 집구매 몰려
“아직 3%대가 지속되고 있는 저렴한 모기지 이율, 오르기 전에 집 빨리 사두자.”
지난 해 연말에 이어 새해 들어서도 메트로 애틀랜타 일대 주택 거래가 1년전에 비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리/맥스(Re/Max) 1월 28개 메트로 애틀랜타 카운티들의 주택거래 신규 보고서에 따르면 메트로 일대에서 판매된 집들은 1년전 동기 대비 12.7% 늘었다.
15%의 상승폭을 나타낸 앞선 12월에 비해 연속 2개월 주택 거래 물량이 두 자리수로 늘어난 것이다. 리/맥스 프리미어의 토렌스 포드 대표는 “낮은 모기지율과 지속되는 경제 성장세가 잠재적 바이어들에게 실제로 주택 구매를 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애틀랜타 부동산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자신감은 계속해서 상승세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리/맥스에 따르면 1월 메트로 애틀랜타에서 거래된 집들의 중간 가격은 1년전 동기 대비 4.3% 올라 24만5000달러를 나타냈다. 메트로 애틀랜타 핵심 5개 카운티 지역들 중에서는 클레이턴카운티에서 가장 주택 거래가 많이 늘었다. 클레이턴에서는 1년전보다 35.4%나 많은 총 130대의 주택들이 지난달에 거래됐다.
주택 거래 숫자로는 조지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풀턴카운티에서 총 1028채가 판매돼 1위에 올랐다. 또한 풀턴에서 거래된 집들의 중간가는 30만달러에서 불과 5달러 적은 수치로 역시 메트로 애틀랜타 지역 전체에서 가장 높았다.
한인들이 가장 밀집한 귀넷카운티에서는 1년전보다 주택 거래가 13.5% 늘었으며 거래 주택들의 중간가는 25만8000달러였다. 주택을 사려는 바이어들이 몰리면서 그렇지 않아도 부족한 메트로 애틀랜타의 매물 부족 현상은 해결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메트로 애틀랜타에서 보유한 매물 주택 물량은 향후 2.7개월 어치 판매 분량으로 1년전의 3.4개월 어치 분량보다 감소했다. 특히 지난 몇 년 동안 생애 첫 주택 구입자들이 살 만한 예산대의 저가 매물 부족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포드 대표는 “최근 저렴한 주택들과 타운하우스 신축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으나 저가 주택들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기에는 역부족인 것으로 예상된다.
캘리포니아 ‘큰손’, 애틀랜타와 사바나에 투자
캘리포니아 뉴포트비치에 소재한 유명 투자기업 빅스비 랜드(Bixby Land) Co.가 최근 애틀랜타시와 사바나에 소재한 대규모산업 부동산들을 인수했다고 애틀랜타비즈니스크로니클지(ABC)가 보도했다.
빅스비 랜드는 10억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영하고 있는 부동산 투자신탁 회사로 최근 애틀랜타에서는 3435 존스보로 로드에 소재한 ‘에어로트로폴리스 노스 로직스틱스 센터’와 사바나에서는 풀러시 200 노딕 드라이브에 소재한 산업 부동산 건물을 인수했다. 전자의 애틀랜타 건물은 지난해 지어진 것으로 20만1867스퀘어피트 규모의 클래스 A 웨어하우스 및 유통 센터로 풀턴카운티 사우스사이드 인더스트리얼 파크에 소재하고 있다. 후자의 사바나 건물 역시 지난해 지어진 최신 빌딩으로 사바나항에서 10마일 이내 소재하고 있다. 채텀카운티 기록에 따르면 빅스비 측은 이 건물 매입에 1160만달러를 지불했다. 빅스비 랜드의 매트 엘라 부회장은 이번 인수건에 대해 “조지아 사바나의 발전상은 놀랍다. 이번에 우리가 인수한 건물은 계속되고 있는 사바나항 확장과 관련, 최적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애틀랜타에서 인수한 웨어하우스 역시 세계에서 가장 바쁜 공항이자 동남부 지역의 관문으로 통하는 하츠필드 잭슨 국제 공항 인근에 소재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크게 어필한 것으로 알려졌다.
빅스비는 이번 건물 인수 외에도 애틀랜타 국제 공항 인근에 소재한 페어번시와 유니온시티시에 각각 28만1090스퀘어피트와 30만4320스퀘어피트 면적의 웨어하우스들을 소유, 운영하고 있다. 이번 두 개의 산업부동산 추가 인수로 빅스비 랜드 측은 조지아주에 보유하고 있는 자산 포트폴리오 총면적이 100만스퀘어피트를 초과하게 됐다.
슈가로프는 지금 아파트 건설 ‘붐’
지금 귀넷카운티의 슈가로프 일대는 아파트 프로젝트가 한창이다.
귀넷카운티 슈가로프 밀스 쇼핑몰 주변과 인피니트 에너지 센터 인근에 900채 이상의 아파트 유닛이 새로 공급(이미 완공 포함)된다고 17일자 AJC가 보도했다. 이 지역은 I-85인근과 각종 문화 행사들이 개최되는 인피니트 에너지 센터 캠퍼스 인근에 소재하고 있어 ‘핫’한 곳이다. 슈가로프 CID의 앨리사 데이비스 디렉터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슈가로프 일대에서는 최소 4개 콤플렉스가 귀넷정부에 의해 승인됐다. 4개 아파트 프로젝트들의 총 유닛은 975개로 지금까지 아직 시공이 완공되지 않은 것도 있다.
데이비스 디렉터는 “슈가로프 지역에서 아파트는 오래전부터 있어왔기 때문에 더 많아진다고 해서 이전과 확연하게 달라질 만한 것들은 없다. I-85와의 근접성을 비롯해 슈가로프 지역은 오피스와 엔터테인먼트 중심지이기도 해 더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 와서 살고 싶어한다”며 최근 들어 아파트 개발이 더욱 활기를 띄는 배경을 설명했다.
아파트보다는 전통적으로 단독주택들이 밀집한 귀넷카운티에서는 아파트 개발이 많아지면 급격히 늘어나게 될 차량 통행량이나 공립학교 학생들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는 걱정이 거센 편이다. 그러나 다른 귀넷카운티 지역들과는 달리 이미 아파트가 많은 슈가로프 지역에서는 그 같은 걱정이 별로 없어 아파트 개발 업체들이 큰 무리 없이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귀넷카운티 전체적으로 주거용 부동산 중에서 단독주택들이 대다수인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아파트는 아직 환영 받는 분위기가 아니다. 실제로 지난 가을 둘루스의 차타후치 강 인근 한인소유로 알려진 두 골프장, 후치와 피치트리 골프클럽 부지에 450유닛 고급 아파트를 포함한 1000채 가까운 주거용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도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못 이겨 건설업체가 아파트 건설은 취소하고 타운홈 161채, 단독주택 304채 건설로 계획을 수정해 간신히 둘루스 시의회의 최종 승인을 받았다. 대큘라에서도 168유닛의 저소득층 아파트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귀넷 관계자들의 공식적인 반대 의견으로 인해 무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슈가로프 지역에서는 아파트 개발들이 순항하고 있다. 슈가로프 밀스 쇼핑센터에서 보행거리 내 194유닛의 럭셔리 아파트 단지, '슈가로프 그로브'는 지난 해 9월 착공에 들어갔으며 또다른 프로젝트인 복합개발 390유닛 아파트 건축 계획은 귀넷카운티 개발위원회가 지난 달 최종 승인을 추천해 카운티 커미셔너들의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에버 21 한 매장.
웨스트사이드 인근 벨우드 채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