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되면 소셜 연금 늘리겠다”
민주당 대선 후보들이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을 비롯해 앞다퉈 소셜 연금 증가를 약속하며 공약 경쟁 중이라고 최근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기사는 지난 1995년도의 한 선거유세 비디오를 묘사하는 글로 시작하고 있다. 화면은 선명하지 못하지만 당시 연방상원의원인 조 바이든이 지지자들에게 예산 감축 일환으로 소셜 시큐리티 연금 동결을 위해 자신이 얼마나 노력했는지 자랑하는 목소리가 또렷하게 들린다.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오늘날 대선 후보로 나선 바이든은 그 정반대의 입장에 서서 본인이 대통령이 되면 소셜 연금을 늘리겠다는 공약을 내걸고 있다. 현재 바이든의 입장에서는 숨기고 싶은 과거가 된 당시 영상은 경쟁자인 버니 샌더스 후보가 지난 달 “바이든의 위선을 폭로한다”며 공개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물론 바이든 측에서는 즉각적으로 반격하며 본인이 오랫동안 연방 상원의원으로 재직하면서 사회 복지 혜택 증가를 지지하는 표결을 한 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 지난 2010년만 해도 바이든을 비롯해 많은 핵심적인 민주당 인사들은 만성적인 연방 재정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소셜 시큐리티 재정 시스템을 정비하기 위한 초당적 협력 차원에서 소셜 연금 삭감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우세했다. 그러나 실제로 가시적인 성과들은 나온 것이 없었으며 민주당의 분위기는 지난 2013년부터 소셜 연금 확대를 지지하며 가파르게 ‘좌향좌’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2020년 현재 11명의 민주당 대선 후보들 중에서 단 한 명도 소셜 연금 감소를 지지하지 않으며 대부분은 연금 증가를 주장하고 있다. 어쨌든 바이든도 현재는 소셜 연금 확대를 강력하게 지지하게 있다. 그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단 한 곳에서도 소셜 시큐리티에 관해서 ‘Cut’이라는 단어를 찾아볼 수 없다.
벨트라인 “영화 산업 유치에 배고프다”
조지아주, 메트로 애틀랜타가 ‘동남부의 할리우드’라 불릴 만큼 영화 촬영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은 새로운 소식은 아니다. 그러나 10일자 AJC는 애틀랜타 다운타운의 벨트라인 일대에 이뤄지고 있는 영화, 영상 산업과 관련된 프로젝트들을 조명해 눈길을 끌었다.
스트레인저 씽스의 퍼스트 시즌에서도 벨트라인 인근의 벨우드 채석장(Bellwood Quarry)이 촬영지로 등장한다. 애틀랜타 벨트라인 Inc.의 클라이드 히그스 CEO는 “벨트라인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창성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더 많은 영화사들이 벨트라인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희망했다. 히그스 CEO는 “스트레인저 씽스와 헝거게임은 우리가 노력하지도 않았는데 얻은 수확물”이라며 영화,영상 산업은 벨트라인을 전국적으로 홍보하는 통로가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아직 남아 있는 미완성의 벨트라인 프로젝트를 완수하기 위한 추가 수익을 확보하는 역할을 해 줄 수 있다고 전했다. 10개도 넘는 인타운 주택가들을 통과하며 녹지와 자전거 전용 도로 및 산책로, 대중 교통 수단으로 연결하는 22마일의 벨트라인은 아직 절반도 완공되지 않은 상태이다.
히그스 CEO는 “벨트라인의 최종 완성을 위해 끊임없이 추가 재정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벨트라인 측에서는 영화 촬영 장소 제공에 하루 1000달러를 받고 있다. 그러나 머피 크로싱(Murphy Crossing) 구간은 3배 더 비싼 3000달러를 하루에 받으며 벨트라인 트레일 한 부분이라도 폐쇄하고 촬영해야 하는 경우에는 하루 촬영 비용이 1만달러로 훨씬 많아진다.
벨트라인의 대변인은 향후 벨트라인에서의 구체적인 영화 촬영 스케쥴에 대해서는 공개하기를 거절했으며 그 동안 영화 촬영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도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벨트라인에서의 영화 촬영은 앞으로도 히그스 CEO의 바람대로 잠재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통설이다.
레이크 레이니어 유명보트 회사 상장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프리미엄 레크리에이션 용도의 보트 리테일러 기업인 뷰포드 본사의 ‘원워터 머린(OneWater Marine)’이 지난 11일 주식시장에 데뷔했다고 애틀랜타비즈니스크로니클지(ABC)가 보도했다.
원워터 머린은 IPO 첫날 4700만달러의 주식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워터 머린은 전국 11개주에 20개 딜러 그룹들로 구성된 60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빠르게 사세를 확장해나가고 있다. 지난 2018년 한 해 동안 원워터 머린은 중고와 신형 보트 포함해 7500개 넘는 보트를 판매했다.
원워터 머린은 지난 2014년 ‘싱글턴 머린(Singleton Marine)’과 ‘레젠더리 머린(Legendary Marine)’의 두 보트 회사가 합쳐서 탄생한 기업으로 인수 합병 당시에는 전국에 19개 매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하나의 회사로 합쳐진 이후 짧은 시간 동안 시너지 효과로 인해 37개 추가 매장을 오픈했다. 원워터 머린은 지난 2017년 매출이 3억9100만달러에서 2019년도에는 6억300만달러로 급증했다. 또한 2017년 원워터 머린은 4억달러 가까운 매출에도 불구하고 420만달러의 손실을 입었으나 다음 해에는 190만달러의 순수익을 얻었다.
나스닥 글로벌 마켓에서 원워터 머린의 주식은 ‘ONEW’로 등록돼 판매되고 있으며 모든 주가 판매 수익금은 아직 남아있는 회사 채무 상환에 사용될 예정이다.
애틀랜타 공항은 ‘황금알 낳는 거위’
하츠필드 잭슨 애틀랜타 국제 공항이 조지아주에서 창출하는 경제적 효과가 무려 824억달러에 이른다는 내용의 보고서가 발표됐다고 12일자 AJC가 보도했다.
공항이 발표한 신규 리포트에 따르면 애틀랜타 국제 공항에서는 6만3329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동남부 전역 기준, 직접 고용은 아니더라도 44만8000개 이상의 고용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애틀랜타 공항으로 인해 창출되는 일자리들로는 공항 직속 직원들 뿐 아니라 대표적으로 여객기 승무원들과 조종사, 컨트랙터들, 서비스 에이전트들, 공항 매점 근로자들 등 다양하다. 애틀랜타 공항은 조지아주에서 가장 큰 고용주로서 전체 직원들 중 가장 많은 비중인 28.8%인 1만8245명이 풀턴카운티에 거주하고 있으며 그 외 대부분 직원들도 디캡과 클레이턴 및 기타 메트로 애틀랜타 일대에 거주하고 있다. 약 11%는 비행기로 출퇴근하는 애틀랜타에 본사를 둔 항공업체 직원 등을 포함해 타주 주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틀랜타 공항에 따르면 공항 근로자들의 평균 연봉은 7만1500달러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엄청난 고연봉을 받는 공항 중역들과 비행기 조종사들의 연봉이 평균 연봉을 끌어올린 역할을 했다. 매 5년마다 발간되는 애틀랜타 국제 공항의 경제 활동 리포트는 지난 2017 회계연도 통계를 근거로 작성됐다. 이 리포트에 따르면 애틀랜타 국제 공항이 지원하는 44만8000개의 일자리들은 조지아와 앨라배마, 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플로리다의 355개 카운티들에서 항공 업체들과 물류 운송 업체들 직원서부터 정비, 컨트랙터 직원들까지 다양하다.
민주당 대선 후보들, 왼쪽부터 바이든, 샌더스, 워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