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만에 밝혀진 내면 알고보니 인센티브로 "떡칠"
지난 6일 귀넷 카운티에 들어설 아마존 물류센터의 이면 안에 1970만 달러의 인센티브가 있었다고 AJC가 보도했다. 이렇게 들어가는 인센티브는 고스란히 귀넷 카운티 세금에서 제공된다.
제공된 인센티브는 세부적으로 일자리 창출 공제 625만 달러, 기계 구매를 위한 판매세 절감으로 440만 달러가 있으며, 물류센터가 들어서는 주변 하수도 및 도로 개량을 위해 3백만 달러가 들어갔으며, 6년 동안 약 360만 달러의 재산세 경감이 있다. 또 카운티 당국은 200만 달러의 지역경제 사업지원 (REBA) 보조금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하지만 이렇게 정부에서 ‘귀하게’ 모신 물류센터가 얼마나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지, 그리고 이렇게까지 막대한 인센티브를 줬어야 됐는지 의문이다.
당초, 조지아 경제 개발부(Georgia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가 ‘프로젝트 로켓’이라고 명명된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홍보할 때, 정부 관계자들은 아마존이 2억 3700만 달러를 투자했다고 하며, 1000개의 일자리 창출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렇게 창출된 일자리에 근무하는 조지아 주민들에게 아마존 관계자는 “채용된 사람들은 동종 업계에서 가장 많은 수당과 혜택을 누릴 것”이라고 했지만, 이번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물류센터 직원의 평균 연봉은 3만 2500달러로 평균적으로 시간당 약 15 달러를 받고 일하여, 식품 서비스 업체인 시스코의 직원이 평균적으로 받는 시간당 25.78 달러보다 10.78달러 적다.
직원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체크하는 싱크탱크인 굿 잡 퍼스트의 그레그 리로이 전무 이사는 “조지아에 아마존 물류센터를 세우려고 준 세금혜택의 의미가 전혀 없다. 조지아에서 늘어나는 물류 이동에 따라 아마존의 물류센터가 들어서는 것은 시간문제였다”라며 이번에 공개된 세금혜택을 비판했다.
한편 프로젝트가 나온 지 6개월 만에 나온 늦은 발표는 조지아 오픈 레코드 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오픈 레코드 법은 조지아의 공무원들이 민감한 경제 개발 거래에 대한 정보가 확실시될 때까지 합법적으로 비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아마존 물류센터의 모습. <아마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