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C] 까다로운 북미시장에 우유,계란,직물 등 수출 증가 전망
NAFTA 협정을 대신하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 무역 협정 (United States-Mexico-Canada-Agreement, 이하 USMCA)으로 조지아 경제는 큰 이득을 보게 될 것이라고 2일자 AJC가 보도했다. 조지아주의 14명 모든 연방 하원의원들의 찬성표과 함께 지난 달 연방하원의 표결을 통과한 USMCA는 새해 초 연방상원의 통과가 확실시되고 있다. 무엇보다 USMCA협정의 가장 의의는 아무런 대안 없이 NAFTA 조약에서 탈퇴함으로써 발생하게 될 경제적 재앙 발생 시나리오에서 미국을 구해준 것이라고 기사는 전했다. 특히 USMCA를 지지하는 조지아주 경제 전문가들은 “USMCA는 조지아주의 가장 중요한 산업 영역에 포함되는 농업과 직물, 제조업에 상당한 유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왜냐하면 USMCA는 캐나다의 엄격한 시장 규제를 뚫고 멕시코의 노동법을 철저하게 단속할 뿐 아니라 제품의 부품들이 북미 밖으로 수출될 수 있는 한도를 제한해주기 때문이다.
지난 26년 동안 효력이 발휘될 동안 NAFTA도 나름대로 조지아주 경제를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줬다. 많은 공장 제조업들이 조지아 작은 마을들에서 사라지는 와중에도 NAFTA는 교통과 운송, 웨어하우스와 딜리버리 영역에서 수만개의 신규 고용들이 창출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북미의 캐나다와 멕시코가 조지아주에서 해외 수출 톱2 국가로 자리매길 할 수 있도록 해줬다.
그러나 이제 조지아주 농부들은 새 USMCA로 희망에 부풀어 있다. 조지아 낙농업자들, 농장주들은 “캐나다의 수입 쿼터가 늘어나 우유, 계란, 땅콩을 더 많이 캐나다로 수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2018년 기준 한 해 8억5000만달러 어치의 경제 효과로 조지아주의 농업 부문에서 1위 비중을 차지하는 닭농장들도 마찬가지이다. 조지아팜뷰로의 트립 코필드 전국 정책 보좌관은 “멕시코와 캐나다는 조지아주 닭고기 수출의 톱 1,2위 나라이다. 따라서 무역협정에서 약간이라도 유리한 규정이 있어도 우리 조지아에겐 엄청난 반사이익으로 돌아온다”고 기뻐했다. 그러나 조지아 과일과 채소 재배업자들은 낙농업, 닭농장 업주들처럼 ‘해피모드’는 아니다. 이들은 베리류와 호박과 같이 저렴한 농산품들의 덤핑에 맞설 수 있는 용이한 규정들을 위해 로비했지만 협상 과정에서 이들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조지아주 한 닭농장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