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상원, 불체주민 검찰 의무통보 법안 추진
올해도 어김없이 주의회에서 반이민 법안이 추진되고 있다. 26일 주상원 의원들은 찬성 36표, 반대 17표로 SB452을 통과시켰다.
SB452는 지역 경찰들이 용의자의 불법 체류 신분을 알게 될 경우 검찰에 의무적으로 통보해야 하는 것이 골자이다. ‘END ACT’라는 타이틀로 추진되고 있는 SB452는 공화당 주상원 의원들과 케이시 케이글 부주지사가 강력하게 후원하고 있다. SB452에 따르면 용의자들을 재판하는 법원들도 국토안보부에 용의자들의 불법 체류 정보를 통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더 나아가 지역 교도소들은 서류미비 이민자들이 출소하기 전에 연방이민국(ICE) 측에 통보해야 한다. 콜럼버스의 조시 맥쿤 주상원의원은 “이 법안은 생명을 살리는 법안”이라며 “부서간 정보가 공유돼 법이 제대로 지켜지도록 해야 한다”고 법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법안은 백인들이 회피하는 3D업종에 많이 종사하는 히스패닉계 노동자들을 조지아주에서 쫓아내 결과적으로 조지아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농업 산업에 큰 피해를 끼칠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개인재정 자문 사이트인 월렛허브(WalletHub)의 최근 리포트에 따르면 조지아주는 이민자들이 많은 다른 주들에 비해서는 그 비중이 전체 주민숫자에서 아주 높은 편은 아니지만 이민자들이 경제에 미치는 전반적인 영향력은 평균 이상이다. 월렛허브는 “정치적인 문제는 뒷전으로 미루더라도 이민자들이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라고 전했다. 조지아주는 19개 하위 부문 중에서 워크 비자를 소지한 외국 출생 근로자들 비중이 전국 7위로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반면 2세대 이민자들이 이끄는 가구 비중 분야는 가장 낮은 순위에 올랐다. 월렛허브 리포트에 따르면 외국 의대를 졸업한 의사들은 전체 조지아주 의사들의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민자들은 전체 조지아 주민 10명 중 한 명 비율인 9.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민자 가구의 한 해 중간 소득은 4만9314달러이며 해외 출신의 STEM 분야 근로자들은 23%, 외국 대학생들은 3%를 차지하고 있다. 조지아주에서는 1/3 이상의 이민자들이 최소 대학 학위 이상의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
조지아주 의사당.